교수소개
교수
2000.05.21 Univ. of Pennsylvania (사회복지학박사)
1991.08.28 이화여자대학교 (문학석사)
1988.02.28 연세대학교 (문학사)
2021.06 ~ 2022.12 인천대학교 (교무처장)
2020.01 ~ 2020.12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(학회장)
2019.01 ~ 2019.12 한국여성학회 (부학회장)
2018.04 ~ 2020.02 국무조정실 정부업무평가위원회 (평가위원)
2017.10 ~ 2021.12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(정책운영위원)
2017.06 ~ 2018.05 한국사회정책학회 (학회장)
2016.08 ~ 2018.07 인천대학교 (사회과학대학 학장, 정책대학원 원장, 사회과학연구원 원장)
젠더불평등과 저출산정책의 정책굴절 ─ 정부의 ‘저출생 추세 반전을 위한 대책’에 대한 비판적 분석, 페미니즘연구 , 제24권(집) , 제2호 , PP.51~88 , 2024.11.30
돌봄주류화 관점에서의 저출산고령사회기본법과 기본계획의 예산추이 분석 및 평가, 비판사회정책 , 제83호 , PP.81~114 , 2024.05.21
현 정부의 가족관념에 담긴 사회적 차별과 배제, 복지동향 , 제307호 , PP.27~34 , 2024.05.03
新版照.政策如何..照..理.域下.照.政策的批判性考察, 国际社会科学杂志 , 제41권(집) , 제1호 , 2024.03.31
여성의 일가족양립 현실과 정책과제, 젠더리뷰 , 2023.12.31
무한한 가족책임이 불러온 사회재생산 위기, 한국사회복지학 , 제75권(집) , 제4호 , PP.317~321 , 2023.11.30
1999∼2019년 미성년 자녀를 둔 부부의 유급-무급노동시간 및 분담율 변화와 영향요인, 한국사회정책 , 제30권(집) , 제1호 , PP.159~188 , 2023.03.31
미성년 자녀를 둔 기혼 남성의 무급노동시간량과 무급노동시간분담율 영향요인, 한국사회복지학 , 제75권(집) , 제1호 , PP.33~58 , 2023.02.28
돌봄주류화를 위한 돌봄거버넌스 구성에 관한 연구, 한국여성학 , 제39권(집) , 제2호 , PP.1~30 , 2023.02.14
돌봄정책의 새판짜기는 어떻게 가능한가?: 돌봄윤리 관점에서의 돌봄정책에 관한 비판적 고찰, 비판사회정책 , 제77권(집) , PP.197~226 , 2022.11.28
임신중지권리 담론 분석, 페미니즘연구 , 제21권(집) , 제2호 , PP.187~231 , 2021.10.07
Double child and elder care responsibilities and emotional exhanstion of an older sandwiched generation, INTERNATIONAL SOCIAL WORK , 제64권(집) , 제4호 , PP.611~624 , 2021.07.01
한부모운동의 형성과 발전에 관한 연구, 한국여성학 , 제37권(집) , 제2호 , PP.35~72 , 2021.06.30
일-가족양립정책의 재구조화를 위한 모색 , 비판사회정책 , 제69권(집) , PP.111~146 , 2020.11.19
이혼한 한부모여성의 섹슈얼리티에 대한 질적 연구, 한국여성학 , 제36권(집) , 제2호 , PP.100~152 , 2020.06.14
성역할태도-영유아돌봄태도의 군집유형과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, 페미니즘연구 , 제20권(집) , 제1호 , PP.83~121 , 2020.04.13
성평등 관점에서의 저출산 기본계획 평가와 대안 전략에 관한 연구, 한국여성학 , 제36권(집) , 제1호 , PP.175~209 , 2020.03.13
韓国における中高年女性のダブルケア負担と制度的不正義, 大原社会問題研究所雑誌 , 제737권(집) , PP.17~32 , 2020.03.02
東アジアにおける社会的リスクとしてのダブルケア , 大原社会問題研究所雑誌 , 제736권(집) , PP.4~31 , 2020.02.21
이혼한 한부모여성의 생애사 연구, 한국가족복지학 , 제66호 , PP.77~114 , 2019.12.31
한부모의 주관적 건강상태 변화와 영향 요인: - 가족 요인, 경제적 요인, 사회적 차별 요인을 중심으로- , 한국가족복지학 , 제65권(집) , PP.43~65 , 2019.09.11
양육수당의 제도적 정합성 분석: 한국과 독일의 양육수당정책 비교를 중심으로, 비판사회정책 , 제64호 , PP.93~135 , 2019.08.21
젠더와 격차, 사회정책 과제, 보건복지포럼 , 제270권(집) , PP.56~69 , 2019.04.28
초등돌봄 정책에 대한 비판적 분석: 공동육아 방과후 참여자들의 경험을 중심으로, 비판사회정책 , 제62호 , PP.251~287 , 2019.02.28
사회적 돌봄부문으로의 남성참여 확대를 위한 시론적 연구-유럽국가들의 경험을 중심으로, 한국여성학 , 제34권(집) , 제4호 , PP.207~238 , 2018.12.31
이중돌봄 맥락에서본 부정의한 세대간 돌봄책임 재분배, 한국여성학 , 제34권(집) , 제2호 , PP.33~70 , 2018.06.30
대안적 사회 가치로서의 "돌봄(care)", 한국사회복지학 , 제70권(집) , 제2호 , PP.308~314 , 2018.05.31
중고령 이중돌봄자의 소진에 관한 연구, 가족과 문화 , 제30권(집) , 제1호 , PP.58~85 , 2018.03.07
개념도 방법론을 활용한 재정착난민 수용태도에 관한 연구: 자원활동가를 중심으로 , 사회과학연구 , 제11권(집) , 제1호 , PP.35~66 , 2018.02.23
돌봄민주주의 관점에서 본 보육정책, 한국가족복지학 , 제57호 , PP.183~215 , 2017.09.24
'민주적 돌봄' 관점에서 본 지방자치단체의 가족정책에 대한 고찰, 젠더와 문화 , 제10권(집) , 제1호 , PP.121~152 , 2017.06.20
이중돌봄 여성의 돌봄부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-동아시아 사례를 중심으로, 가족과 문화 , 제29권(집) , 제2호 , PP.95~125 , 2017.06.14
돌봄자관점에서 본 이중돌봄의 현실과 일상성에 관한 연구, 젠더와 문화 , 제9권(집) , 제1호 , PP.121~161 , 2016.06.30
돌봄의 사회화와 복지국가의 지연(遲延), 한국여성학 , 제30권(집) , 제4호 , PP.119~152 , 2014.12.30
한국 30대~40대 여성의 이중돌봄 현실과 돌봄경험의다중성에 관한 연구, 한국사회복지학 , 제66권(집) , 제3호 , PP.209~230 , 2014.08.29
사회복지부문 돌봄 관련 일자리의 질 저하에 관한 연구, 젠더와 문화 , 제7권(집) , 제1호 , PP.7~42 , 2014.06.30
남녀 직장인의 무급노동시간 격차와 일가족양립 정책에의 함의: 서울시 직장인 밀집지역을 중심으로, 비판사회정책 , 제43권(집) , 제43호 , PP.169~206 , 2014.05.30
통합적 가족정책으로의 패러다임 전환을 위한 과제, 비판사회정책 , 제39호 , PP.145~189 , 2013.05.08
여성주의 관점에서 본 생애주기별 복지와 돌봄 패러다임, 페미니즘연구 , 제13권(집) , 제1호 , PP.93~129 , 2013.04.30
젠더레짐을 통한 여성사회권 현실과 지향성 연구, 미래사회복지연구 , 제3권(집) , PP.71~96 , 2012.09.30
돌봄정책의 국가별 상이성과 젠더관점: 아동보육 부문을 중심으로, 가족과 문화 , 제24권(집) , 제3호 , PP.1~33 , 2012.09.30
노동조합 내 여성의 지위가 모성보호제도의 실시에 미치는 영향, 한국사회정책 , 제19권(집) , 제1호 , PP.95~122 , 2012.03.31
성매매여성의 가족경험과 탈성매매 과정에 미치는 영향, 가족과 문화 , 제24권(집) , 제1호 , PP.106~139 , 2012.03.30
복지국가와 돌봄정책 유형, 복지동향 , 제160권(집) , PP.9~12 , 2012.02.10
다문화가족 중도입국청소년의 학교생활 적응에 관한 질적 연구, 한국사회복지학 , 제63권(집) , 제4호 , PP.131~154 , 2011.11.30
보육서비스 정책 개편 쟁점에 관한 연구, 한국사회복지학 , 제63권(집) , 제3호 , PP.285~307 , 2011.08.30
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관한 연구, 여성연구 , 제79권(집) , 제2호 , PP.81~114 , 2010.12.30
자유선택 정책설계내 계층과 젠더 문제, 한국가족복지학 , 제30권(집) , PP.347~378 , 2010.12.30
일가족양립갈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분석, 사회복지정책 , 제37권(집) , 제3호 , PP.27~52 , 2010.09.30
여성인권지원 단체 활동가의 여성주의 의식이 소진에 미친 영향, 젠더와 문화 , 제3권(집) , 제1호 , PP.7~38 , 2010.06.30
성평등 지표개발과 측정방안 연구, 한국여성정책연구원 , 2009.12.01
가족정책내 자유선택 쟁점에 관한 고찰, 페미니즘연구 , 제9권(집) , 제2호 , PP.83~117 , 2009.10.01
영국 가족정책의 변화와 한계, 상황과복지 , 제28권(집) , 제2호 , PP.51~94 , 2009.08.30
일가족양립정도에 대한 인식: 집단간 비교분석을 중심으로, 한국사회복지학 , 제61권(집) , 제2호 , PP.349~370 , 2009.05.30
일가족양립 지수 개발 및 적용방안, 한국여성정책연구원 , 2008.12.01
일과 가족 양립을 위한 가족지원서비스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, 사회복지정책 , 제34권(집) , PP.7~34 , 2008.09.01
노인복지시설 자원봉사자의 유형별 갈등요인이 만족도와 지속적 참여의사에 미치는 영향 연구, 한국지역사회복지학 , 제26권(집) , PP.137~158 , 2008.09.01
빈곤여성가장을 위한 서비스 제공에 대한 민-관 인식 차이에 관한 연구: 지역사회 거버넌스 실현의 현실적 간격을 중심으로, 한국사회복지학 , 제60권(집) , 제3호 , PP.177~200 , 2008.08.30
일-가정 양립현실과 새 정부의 정책 과제, 가족/여성 , 2008.06.01
여성가장 가족의 빈곤문제와 성인지적 탈빈곤 정책, 한국가족복지학 , 제22권(집) , PP.131~159 , 2008.04.01
부양의식을 통해 본 노인부양지원정책의 방향성, 사회복지정책 , 제19권(집) , 제0호 , PP.207~234 , 2004.08.01
Utilization of mental health services by low -income pregnant and postpartum women on medical assistance, Women and Health , 제39권(집) , 제0호 , PP.0~0 , 2004.02.01
Routledge Handbook of Ease Asian Gender Studies, Routledge , 2020.01.02
새로 쓰는 여성복지론: 쟁점과 실천 , 양서원 , 2019.07.25
복지와 사상: 복지국가 이데올로기의 역사적 전환, 한울 , 2016.08.25
젠더와 사회, 동녘 , 2014.06.30
한국사회를 바꿀 진보적 정책대안, 메이데이 , 2012.03.13
가족정책:복지국가의 새로운 전망, 공동체 , 2010.03.05
가족복지의 정책과 실천, 공동체 , 2008.01.01
성평등정책론, 교육과학사 , 2007.05.01